명옥대는 퇴계 이황(1501~1570)이 후학들에게 학문을 가르치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선 현종(1665) 때 사림에서 건립했다. 정면 2칸, 측면 2칸 누마루에 계자(닭다리 받침대 ) 난간을 설치했다. 4면을 개방하여 주변 경관을 볼 수 있도록 했다.
병산 서원 답사를 끝내고 안동의 야경을 보기로 했다. 천등산 계곡 명옥대부터 시작했다. 명옥대는 작고 아담한 구조지만 계곡과 물소리, 너럭바위 등에서 선비들의 정취가 느껴진다. 정자에 올라 주변 경관을 살폈다.
400여m 거리에는 봉정사가 있다. 명옥대와 봉정사, 유교와 불교문화가 만난다. 유생들은 목탁소리와 염불 소리를 들으며 성리학을 공부했다. 산사의 종소리가 은은하게 들려온다. 모처럼 시끄러운 일상에서 벗어나 해방된 느낌이다.
종소리를 따라 봉정사로 발걸음을 옮긴다. 밤에 절 구경은 특별한 감흥을 준다. 고요와 적막 속에서 느끼는 고독한 즐거움이랄까. 인적이 없는 산속이라 두려움과 호기심이 교차되기도 하지만…
일주문에 들어섰다. 소나무 숲길이다. 세월의 흔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듯 비틀리고 휘어지며 서 있다. 한 5분 걸었을까. 만세루가 나타난다. 만세루는 절 중문으로 봉정사의 입구 역할을 하는 건물이다. 방문객이 사찰로 들어가는 통로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서면 누각인 만세루다. 좁은 누문을 통과한다. 대웅전이 머리 위에서 방문객을 맞이한다.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 형태다. 건축양식과 단청 등 조선초기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단층 맞배지붕 건물이다. 한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다. 삼층석탑과 함께 고려시대에 세워졌다. 목탁소리, 염불소리… 가슴을 아리듯 파고든다. 발 뒤꿈치를 들고 조용히 걸음을 옮긴다.
이슈 뉴스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